恭肅公派 派祖 諱 明德
공의 자는 浩然 또는 新之이요 호는 사봉이시다. 중형 송은공과 더불어 목은 李穡 선생의 문하에서 수학 하시었다.
송은공이 고려의 국은이 쇄함을 보시고 이천 잔중에 隱遁하시고 草木同腐할 것을 다짐하시니 당시20여세의 공께서 형님은 세상을 등지고 노모는 당상에 계시니 나는 장차 어디로 가야 하나 하시니 송은공이 落淚하며 위로하시고 나는 명문후손으로 이군을 섬기지 못하나 너는 경국제세의 재분이 있고 아직 출세하지 아하였으니 노모를 모시는데 너의 뜻대로 하라 하시니 사봉공이 啼泣(제읍)하며 말씀하시기를 형님이 절개를 확립함은 의리이고 나는 출세하여 나라에 충성을 踐행하는 도리는 일반이라 하고 조선조 태조5년(서기1396년)丙子試에 문과 장원 급제하시어 증정원좌승지 호조참의 도승지와 吏曹 병조 예조등 3조의 참판을 거쳐 한성판윤과 공조 병조 예조 吏曹 등 4조의 판서와 강원 황해 경기 전라 경상 5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시고 세자(후에제종)사전 세 번에 걸친 중국사신과예문관대제학 判中樞院事(판중추원사)이르시었다.
공은 조선개국 4세명신이시니 제종대왕 절위시에 大寶를 받들었으며 말년에 집에 돌아와 계실 때 机杖(궤장)을 하사받으시고 정통 갑자(세종26년)윤7월13일에 천명을 다 하시니 향년 76세이며 대匡(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우의정에 贈職되시고 시호는 恭肅公이시다.
가구 및 인구와 주요 세거지
-가구- 인구분포
- 주요세거지
2000년도 통계청의 본관별 인구 통계자료 에 의하면 공주본관의 10,64가구에 35,148명이고 공산본관이 998가구에 3241명으로 우리나라 공주이씨는 총11,762가구에 38,389명으로서 우리나라인구 1,000명가운데 한명이 공주이씨인 셈입니다.
시조이래 세거의 터로 삼았던 곳을 짐작하기는 어려우나 고려조 중엽후대인 29세조검교 정승영 삼사사 휘 이승경 이후로 몇 대의 묘영이 전북 남원 대곡동과 충남 공주 청양 그리고 경기도 양주 이천등지에 있으므로 그 일대에 자손들이 살았다고 믿어진다. 조선조 초에 7파로 분파아였는데 경력공파의 자손인 45세조 휘 겸이 연산군때 함북 경성으로 유배되어 그 후손이 저착하여 집대성을 이루었으나 지금은 남북분단으로 극소수만이 남한에 거주하고 있어 한타까운 마음금할길 없으며 문성공파는 강원도 이천에 자리 잡고 살았는데 휘 근의 후계 45세조 휘 현산의 자손은 전북 진안 좌포에 자리 잡고 그 후손이 전주 정읍등지에 집성촌을 이루었고 휘 분의 후손은 경기도 양주 연천 전북 남원등지에 옮겨가 살았고 45세조 휘 진의 자손은 충남 공주 천안등지에 옮겨가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한편 공숙공파는 휘 원근 휘 형근의 후손은 영남에 낙향하여 경북 영주 예천 안동과 충남 대천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있고 위 정근의 후손은 충남으로 낙향하여 공주 월성동을 세향으로 삼아 충남 넌역에 산거하며 휘 영근의 수손은 적은 수가 대전 공주 등지에 살고 있으며 휘 효근의 자손은 광주 또는전남 화순에서 집성촌을 이루고 세거하고 있으며 그 일부가 경남 하동진주등지에 산거하고이다.
또한 지평공파는 43세조 휘 방필이 공주의 신풍에 낙향하여 집성촌을이루고 충남일원에 산거하고 있다. 그리고 참의공파의 후손은 평안도 안주 영빈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었으나 그후손중 일부가 대전 부산등지에 피난와서 살고 있으며 현감공파의 후손들은 충남 서산등지에 산거하나 그 수가 많지않다.
강양공파의 후손은 경기도 연천 고양 포천 철원등지에 자리 잡고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파주 청양 부여 당진등지에도 많이 살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긱파의 자손들이 전국 각지에 흩어져 살고 있으나 서울 인천 경기등 수도권에 절반이 넘는 6,413가구 21,154(55%)명이 살고 있고 충청도에 2,126가구 6,843명(18%)경상도에 1,876가구 6,119명(16%) 전라도에 1,033가구 3,318명(9%)이 살고 있으며 강원도에 295가구886명과 제주도에도 19가구 69명이 살고 있다.
14. 신라 고려시대 인물
신라시대
시조 이천일 : 대사마대장군 요동백 공산군 문무공
이덕유 : 2세 판삼상 전정공
이승노 : 4세 삼사 문하시중 정충공
이 규 : 5세 좌승상 능창군 문숙공
이필문 : 8세 왕사부 안국공
이광일 : 10세 좌익장군 대사마대장군 공산군 문창공
이 댁 : 11세 좌승상 완산군 충무공
이종민 : 12세 승상 완평군 창국공
이 충 : 13세 중서령 완산군 목선공
이순지 : 14세 좌승지 공산군 진충공
이 웅 : 15세 양무후 춘천군
이 춘 : 16세 도평장사 우승상 공산군 충창공
이세재 : 20세 동도우승상개성후 목안공
이인보 : 22세 대제학 함능군 안목공
이 온 : 24세 좌승상 낙창군 창정공
고려시대
이지문 : 27세 참지정 공산군 문성후
이승경 : 29세 검교정승 영삼사사 선무공
이희안 : 30세 태상공
이송령 : 31 : 추충익재좌명공신 삼중대광이부상서 관개성의사 정양공
이백령 : 31세 광록대부 삼중대광문하찬성사 양산군 충민공 분위양산 이씨
이 관 : 32세 순충적덕보조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 찬성사 공산군
이인제 : 33세 순충적덕보조공신 은청광록대부좌정승 지문하부사공산 부원군 의충공
이교송 : 34세 금자광록대부 첨의정승 수성부원군
이子송 : 34세 금자광록대부 첨의정승 수성부원군 분위 수원이씨
이自광 : 35세 광정대부 신호위중랑장 송산군
이 우 : 36세 전공시랑 금자광록대부 태자태부 양호공
이 저 :37세 보문각대제학 은청광록대부 태자태사 화성부원군
이사손 : 38세 은자광록대부 첨의정승 판삼사사
이 엽 : 39세 봉익대부 강능도관차사 겸 강능대도호부사 전라도관찰사 광록대부전공파서 정충공 청백리
이 서 : 39세 판서 찬화 위사 벽산공신 자헌대부 참지문하부사 등 참 지의정부사
이명선 : 40세 개성경력 경력공
이명성 : 호 송은 감찰전감찰어사 지네고 두문동 문성공